• 동두천 12.5℃맑음
  • 강릉 15.5℃맑음
  • 서울 12.6℃맑음
  • 대전 14.2℃맑음
  • 대구 15.4℃맑음
  • 울산 16.2℃맑음
  • 광주 13.9℃맑음
  • 부산 17.9℃맑음
  • 고창 14.0℃맑음
  • 제주 17.1℃맑음
  • 강화 12.7℃맑음
  • 보은 12.7℃맑음
  • 금산 11.9℃맑음
  • 강진군 15.1℃맑음
  • 경주시 16.0℃맑음
  • 거제 15.2℃맑음
기상청 제공
메뉴 회원가입

건국대병원 신은주 전공의, 대한진단검사의학회 우수구연상 수상

 

                                                    

건국대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신은주 전공의가 지난 1029인천 인스파이어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2025 대한진단검사의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 우수구연상을 받았다.

 

백혈구 감별계수 처리 시간에 대한 심층 분석: 실제 환경에서의 Sysmex DI-60과 수동 카운팅 비교(In-Depth Analysis of Turnaround Time for White Blood Cell Differential: Sysmex DI-60 versus Manual Counting in Real-World Practice)를 주제로 한 구연을 통해 우수구연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번 연구는 디지털 형태학 분석기(DI-60)와 수동 백혈구 감별 검사의 검사 소요 시간을 실제 임상 환경에서 비교한 것으로, DI-60이 수동 감별 검사에 비해 검사 시간 측면에서 한계를 나타냄을 확인했다. 그러나 디지털 형태학 분석기를 각 검사실의 수동 슬라이드 검토(MSR) 기준에 적절히 통합한다면 검사 효율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줬다. 이처럼 본 연구가 실제 검사실의 적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분석해 임상검사 효율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해 수상하게 됐다.

 

이 연구는 디지털 형태학 분석기(Sysmex DI-60)와 수동 백혈구 감별 검사(manual counting)의 검사 소요 시간(TAT)을 실제 임상 검사 환경에서 비교한 것이다. 907개의 검체를 검사실의 수동 슬라이드 검토(MSR) 기준에 따라 선정하여 7주 동안 두 방법을 병행 수행했다.

 

그 결과, DI-6020.9%의 검체에서 불완전 분석(<200세포)을 보였으며, 완전 분석이 가능했717개의 검체에서는 DI-60의 전체 TAT(423)가 수동 계수(200)에 비해 유의하게 길었다(P <0.001).

 

DI-60의 사전 분류 시간은 백혈구 수가 증가할수록 감소했고, 검증 시간은 검사자의 숙련도가 향상될수록 단축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수동 계수의 TAT는 백혈구 수에 따른 차이가 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DI-60은 검사 효율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으나, 불완전 분석 비율과 상대적으로 긴 TAT로 인해 수동 슬라이드 검토를 완전히 대체하기는 어렵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따라서 각 검사실의 MSR 기준에 맞추어 DI-60을 보조적 도구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했다.

 

신은주 전공의는 좋은 평가를 받아 우수구연상을 수상하게 되어 매우 영광스럽게 생각한다연구에 함께해주신 선생님들과 지도해주신 교수님들께 깊이 감사드린다고 전했다.

 

 



뉴스

더보기